[데이터 아키텍처] DA 구축 예제 | 3. 리버스 모델링
<목차>
2. 현행 DB 준비 - 파일 업로드 (feat. 파이썬)
3. 리버스 모델링
리버스 모델링은 역공학(reverse engineering)이라고도 하는데 현행 데이터 모델링을 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리버스 모델링은 현행 데이터 모델이 존재하고 DB 오브젝트와 일치한다면 수행할 필요가 없는 타스크이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DB 오브젝트로부터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 리버스 작업을 진행한다.
리버스 모델링의 목표는 테이블명과 컬럼명의 한글명칭을 적용하여 현행 시스템의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앞 선 포스트([데이터 아키텍처] DA 구축 예제 | 2. 현행 DB 준비)에서 현행 시스템을 구성 하였다. 즉,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한 엑셀 파일을 테이블로 업로드한 것을 현행 시스템이라 가정한다.
본 포스트에서는 리버스 모델링 과정을 기술한다.
현행 시스템의 현황은 아래와 같다고 가정한다.
- 현행 시스템 접속 권한 없음
- 현행 데이터 모델(ERD) 부재
- 엑셀 형태의 테이블 목록 존재
- 엑셀 형태의 컬럼 목록 존재
- DB 오브젝트와 엑셀 형태의 테이블/컬럼 목록 일치
현행 시스템의 접속 권한이 없고 엑셀 형태의 테이블/컬럼 목록이 존재하므로 파일 리버스 모델링을 수행한다.
리버스 모델링 위한 모델링 툴은 DA# Modeler5를 활용한다. DA#에서 파일 리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목록과 컬럼 목록이 필요하다.
테이블 목록은 아래와 같다.
컬럼 목록은 항목이 많으므로 테이블 한 개만 표시한다.
위와 같이 테이블 목록과 컬럼 목록으로 DA# 모델링 툴을 이용한 파일 리버스 모델링 과정은 아래와 같다.
파일 리버스 모델링 결과는 아래와 같다.
리버스 모델링은 단순하고 기계적인 작업이 많으므로 주로 주니어 레벨의 DA(Data Architect)또는 데이터 모델러가 진행한다.
'데이터 아키텍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아키텍처] DA 구축 예제 | 5. 현행 개념 데이터 모델링 (0) | 2024.05.21 |
---|---|
[데이터 아키텍처] DA 구축 예제 | 4. 현행 논리 데이터 모델링 (1) | 2024.05.19 |
[데이터 아키텍처] DA 구축 예제 | 2. 현행 DB 준비 (feat. 파이썬) (0) | 2024.05.15 |
[데이터 아키텍처] DA 구축 절차 (0) | 2024.05.15 |
[데이터 아키텍처] DA 구축 예제 | 1. 개요 - 오픈 데이터 활용 (0) | 2024.05.14 |